✅ 임상시험(Clinical Trial)
의약품 등 안전성과 유효성을 증명하기 위해 사람을 대상으로 해당 약물의 약동·약력·약리·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고 이상반응을 조사하는 시험으로, 생물학적 동등성시험은 포함하나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는 제외함
✅ [Phase1, 1상] 임상약리시험(Human Pharmacology Study)
신약 후보 물질의 안전성(Safety) 및 내약성(Tolerability)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교적 소수의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신약 물질을 투약한 후 안전성 정보(Safety profile), 약동학(Pharmacokinetics) 및 약력학(Pharmacodynamics) 등을 파악하고 최대 내약 용량(Maximum tolerable dose) 을 결정함. 항암제와 같이 환자 대상으로 제1상 스터디를 시행하는 경우 외에도 약물과 약물 간의 상호작용 혹은 약물과 음식물과의 상호작용 등을 평가하는 스터디 등이 있음.
· Phase 1a : 단일용량상승시험 (SAD) -> 일반
· Phase 1b : 다중용량상승시험(MAD) -> 환자대상
✅ [Phase2, 2상] 치료적 탐색 임상시험(Therapeutic Exploratory Study)
제1상에서 얻은 안전성 및 약력학, 약동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비교적 소수의 환자(보통 수십~수백 명)를 대상으로, 예비적인 효과를 탐색하고 3상 임상시험을 위한 적정 용량을 평가. 신약 후보 물질의 탐색적 효과(Exploratory efficacy)를 평가하는 임상시험을 전기2상 혹은 Phase IIa, 용량을 선정하는 임상시험(Dose-finding study)을 후기2상 혹은 Phase IIb로 구분하여 부르기도 함
· Phase 2a : 약물이 질병치료에 효과를 가지는지 여부
· Phase 2b : 표준치료/대조군과 질병치료 효과 비교
✅ [Phase3, 3상] 치료적 확증 임상시험(Therapeutic Confirmatory Study)
제1상 및 제2상을 통하여 알게 된 안전성 및 예비적 유효성을 확증(Confirm)하기 위한 임상시험으로, 비교적 다수의 인원(수백~수천 명)을 대상으로 시행됨. 약물개발자는 제3상 임상시험까지 마친 후 누적된 결과를 가지고 규제기관에 신약 허가 신청(New drug application, NDA)을 하게 되며, 규제 기관으로부터 신약으로 승인을 받은 후에는 통상 진료에서 처방 및 시판이 가능해짐
· Phase 3a : 신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통계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임상시험
· Phase 3b : 품목허가보다는 자료 발표 등의 목적으로 수행하는 임상시험; 품목허가 신청자료에는 포함X
※ Well-controlled 임상 3상
· 장점 : 빠른시간 내 계획된 내용의 확인이 가능한 시험
· 단점 : 시판 시 군 자체 데이터의 신뢰성은 나오지만, well-controlled된 제한적 결과가 나옴
✅ [Phase4, 4상] 치료적 사용 임상시험(Therapeutic Use Study)
규제기관으로부터 신약 허가를 받아 시판이 이루어진 이후에, 약물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임상약리학 연구임. 예를 들어, 신약 승인 전인 제1상~제3상 임상시험 단계에서는 평가되지 못한(혹은 할 수 없었던) 드물게 발생하는 이상사례(Rare AE) 혹은 수년간의 장기 사용 시 나타나는 효과, 특수환자군(신장애 혹은 간장애 등)에서의 약물 효과 평가 등이 이에 해당함.
결과에 따라 사용범위 확대 vs. 시판중단 조치 등의 변화가 나타날 수도 있음
✅ 0상 임상시험(Microdosing Study)
탐색임상, 미량임상으로 불리는 Phase 0는 동물실험을 마친 신약 후보 물질로 본격적인 인체실험을 실시하기 전에, 소수(10명 내외)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낮은 용량(기존 약물양의 0.01%에 해당하는 양) 으로 약물을 투여하는 예비 임상시험.
다음 단계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PK/PD 등 관련 정보수집 목적(작용기전, 바이오마커 분석법 등)으로 실시되며, 임상시험의 효율성을 높히고 피험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음.
✅ 병행 임상시험
1/2상 임상시험 (1/2a, 1/2b 등), 2/3상 임상시험 (2/3, 2a/3, 2/3a 등) 등 서로 다른 단계의 임상시험을 하나의 임상시험으로 결합하여 수행하는 형태의 임상시험으로, 빠르게 수행될 수 있으나 1상 시험 데이터가 잘 도출됐어도 2상 시험 데이터가 엉망이면 전체 실험 실패 판명되는 등의 위험성 내재
✅ 임상시험 평가 목적에 따른 분류
- 우월성 평가시험(Superiority Trial): 평가하고자 하는 신약(치료약)의 효과가 대조약보다 우월함을 증명하고자 하는 임상시험
- 비열등성시험(Non-Inferiority Trial): 평가하고자 하는 신약(혹은 치료약)이 대조약보다 열등하지 않음을 증명하고자 하는 임상시험
- 동등성시험(Equivalence Trial): 비교하는 두 가지 약제가 임상약리학적으로 정해진 기준 내에서 차이가 없이 동등함을 입증하고자 하는 임상시험
'Study > Bioinforma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개념] 적정용량 설계(Dose finding design) (0) | 2024.07.16 |
---|---|
[개념] 코호트 연구 (1) | 2024.07.08 |
[개념] 임상시험 관련 약어 정리 (0) | 2024.07.03 |
[개념] 임상연구 설계 (0) | 2024.07.03 |
[개념] 임상시험 관련 기본 용어 (1) | 2024.07.02 |